경복궁 담벼락을 스프레이 낙서로 훼손한 10대 남녀 학생 2명. <br /> <br />하필 불법 영상공유 사이트 주소를 남겼었는데, 이유가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은 경찰 조사에서 SNS를 통해 누군가로부터 특정 문구를 담벼락에 새겨달라는 부탁을 받았고, 대가로 10만 원을 받았다고 실토했습니다. <br /> <br />범행에 쓰인 스프레이 역시 이들이 직접 구매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은 누가, 왜 이런 부탁을 한 건지 수사력을 모으는 동시에 10대 피의자 2명에 대한 구속영장 신청 여부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의 범죄를 모방해 경복궁 담에 또 다른 낙서를 남겼던 20대 남성은 문화재를 훼손했다는 자각조차 없이 뻔뻔함으로 일관했습니다. <br /> <br />자신의 블로그에 예술을 했을 뿐인데 너무 심각하다거나 영어 철자를 틀려 창피하다, 하트를 검은색으로 하면 좋았을 거라는 등의 글을 남겼습니다. <br /> <br />자수 과정에서 주목받은 것도 후일담으로 남겼습니다. <br /> <br />[A 씨 / 경복궁 영추문 낙서 피의자 (지난 18일) : (낙서는 무슨 의미로 그린 거예요?) …. (혹시 전날 낙서하신 것 (1차 낙서) 일행이랑 일면식 있으세요? 아는 사이인가요?)….] <br /> <br />그런데 YTN 취재 결과 A 씨는 지난달 경복궁 근처 미술관에 전시된 예술작품의 일부인 모자를 훔친 혐의로 입건돼 기소 유예 처분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에도 훔친 모자를 쓰고 경찰서 앞에서 인증 사진을 남기는 등 반성하는 모습은 찾기 어려웠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무분별한 문화재 파괴 행위를 예술로 포장하는 건 궤변이라고 일축합니다. <br /> <br />[배상훈 / 우석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: 공공의 문화유산을 파괴하는 것을 일종의 예술품이라고 하는 것 자체도 반달리즘의 영역이거든요. 이 낙서가 생기고 앞에 있던 애들이 한 다음에 그걸 그대로 따라 한 거잖아요. 그게 예술인가요?] <br /> <br />경찰은 이들에게 3년 이상의 징역형에 처하는 문화재 보호법 위반 혐의를 적용하고, 복구 비용을 물리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대겸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 | 강보경 <br />영상편집 | 진형욱 <br />자막뉴스 | 박해진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 #경복궁낙서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122109291820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